저자 |
Katie Ellis, Mike Kent |
---|---|
페이지수 |
480 |
발행일 |
2021-01-15 |
출판사 |
학지사 |
ISBN |
978-89-997-2282-0 93330 |
교육비정가 | 25,000원 |
실결제금액 | 25,000원 (0% 할인) |
상품설명 | 이 책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정보통신기술에 기반을 둔 소셜 미디어의 사용이 장애인의 사회통합과 사회적 권리 보장을 위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다양한 관점에서 보여 준다. 이 책에 기술된 연구 사례들은 장애를 개인적 차원의 적응 문제가 아닌 사회구조적 문제로 환원시켜 독자들이 가지고 있는 장애에 대한 편견에 도전하고, 장애인을 집단 정체성이 아닌 개인의 능력과 잠재력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사회의 구성원으로 인식하고 포용할 수 있도록 한다. 뿐만 아니라, 이 연구 사례들은 소셜 미디어가 장애 이전의 개인의 정체성과 장애 이후의 정체성을 연결하는 ‘적응의 도구’로서 장애가 가지고 있는 가능성과 창조성을 부각시켜 장애인을 역동적인 변화의 주체로 설명하고 있다. |
목차 | 발간사 역자 서문 01 서론: 사회적 장애 PART 1 옹호 02 소셜 미디어와 청각장애인의 역량강화 03 #107일 캠페인에 대한 개인적 성찰 04 정상성 확인하기 05 베딩 아웃 PART 2 접근 06 접근성 있는 소셜 미디어의 중요성 확대 07 트랑스뽀르 메자다쁘떼 08 상호작용 포함하기 09 새로운 미디어와 접근성 있는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PART 3 커뮤니케이션 10 디지털 시대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11 #사회적대화 12 연결된 사회 공간에서 취약성과 상호의존성 이해하기 13 소셜 미디어와 장애의 포용 PART 4 교육 14 e-러닝의 기회, 소셜 미디어 그리고 장애 15 미디어가 만드는 경험의 현상학 16 접근(불)가능한 소셜 미디어로서의 블랙보드 17 ‘언어차별주의’에 도전하는 ‘방법을 알고 있는’ 난독증 장애인 PART 5 커뮤니티 18 ‘나와 말이 통하는’ 19 자폐증을 게시하다 20 인식에서 포용으로 PART 6 새로운 방향 21 보완대체의사소통 및 소셜 미디어 사용자를 위한 자기표현 22 장애, 소셜 미디어 그리고 종교적 담론: 아라비아의 사례 23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중국 장애인의 사회권 향상하기 찾아보기 |
온라인강좌 |